학교에서 들은 컴퓨터 네트워크 강의 내용을 복습하면서 작성한 글입니다.
March 18, 2024 4:15 PM
- protocol: application의 정상적 작동 위해서 중요!!
Layering
- layers: 각 계층은 서비스를 제공
- 아랫계층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의존, 이용 → 윗 계층에 서비스 제공
- 아래 서비스가 없다면 윗 서비스도 불가
- layering 의 이유
- modularization: 시스템의 유지, 업데이터를 쉽게 만듦
- → 해당 레이어에 변화 있어도 다른 레이어에 영향 X, 알 필요 없게 만들 수 있음
- ISO/OSI reference model
- 참조모델로 권고안이었음. Internet과의 차이는 presentation, session 계층 존재 전에 존재했다 정도만 알면됨

IP프로토콜만 공통사용 → 그 아래는 다른 기술들을 써도 서로 통신 OK

- router: network와 network 연결시켜주는 장치, 변환(예: ethernet → PPP)
Encapsulation (캡슐화)
- Header: (각 계층마다) 제어정보 부착 (받아서 헤더 붙이고의 과정 반복)
- 전송 후 destination에서 받아서 맞는지 확인 후 떼어냄
application | message | M |
transport | segment | H(t)+M |
network | datagram(packet) | H(n)+ H(t) + M |
link | frame | H(l)+ H(n)+ H(t) + M |
physical |
캡술화 예) transport layer의 segment는 application layer의 message와 transport layer의 header가 붙어서 만들어짐

- source 에서 destination까지 모든 device에 모든 계층이 구현될 필요 X
- 예) 스위치 1,2 계층 / router 1,2,3계층
'CS > 컴퓨터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퓨터 네트워크] Application Layer (0) | 2024.07.04 |
---|---|
[컴퓨터 네트워크] Security (0) | 2024.07.04 |
[컴퓨터 네트워크] Performance - loss&delay, TraceRoute (0) | 2024.07.04 |
[컴퓨터 네트워크] Packet Switching (0) | 2024.07.04 |
[컴퓨터 네트워크] Network Edge & Network Core (0) | 2024.07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