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교에서 들은 컴퓨터 네트워크 강의 내용을 복습하면서 작성한 글입니다.
March 12, 2024 4:23 PM
Packet Switching vs. Circuit Switching
ISP 입장에서 유리한 것?
packet switching | circuit switching |
|
|
→ 충분히 작기 때문에 packet-switch 쓸 만함 |
💡 Packet Switching 은 bursty(데이터 필요량 들쭉날쭉) 한 경우에 유리함
→ resource sharing + no call set up(예약X) but, congestion(혼잡) 가능성 O
→ delay, loss (buffer overflow)
Internet Structure: a network of networks
- ISP끼리도(다른 회사끼리도) 연결되어 있어야 함
- Internet이 정형화 되지 않고 mesh 형태로 매우 복잡하게 되어있음 → 경제, 정치 등의 이유로 다양
cases of internet structure
- 모든 end system 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면 → O(N^2) : bad
- 하나의 global ISP에 연결 → 문제 발생시 네트워크 마비 + 하나의 네트워크를 선정하고 통일하는 것 사실 상 불가 + 독점, 가격⬆️ → 현실X
- 여러 ISP mesh 형태 → IXP (Internet Exchange Point: 굉장히 빠른 다량의 switch) 로 경쟁사더라도 ISP 끼리 연결 되어있음 + 두 고객이 보호 원할 때는 두 라우터 직접 연결도 가능(peering link)
- mesh 형태에 regional ISP가 하위에 한 번 더 연결되어 있는게 가장 현실에 가까움
- (international → national → regional 계층구조)
- content provider는 자사 네트워크 운용 → ISP 와 다름: 고객에게 선호할 만한 컨텐츠를 가까이 놓고 서비스 하겠다!
'CS > 컴퓨터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퓨터 네트워크] Protocol layers (0) | 2024.07.04 |
---|---|
[컴퓨터 네트워크] Security (0) | 2024.07.04 |
[컴퓨터 네트워크] Performance - loss&delay, TraceRoute (0) | 2024.07.04 |
[컴퓨터 네트워크] Network Edge & Network Core (0) | 2024.07.04 |
[컴퓨터 네트워크] Internet&Protocol (0) | 2024.07.04 |